짜고 매운 음식 젓갈 햄 즐기면 위험 헬리코박터균 3배 이상 발병 높인다
초기 위암 완치율 95% 내시경 절제술로 위 보존 삶의 질 높인다

사진. (왼쪽부터) 장재영 교수,  김용호 교수
사진. (왼쪽부터) 장재영 교수,  김용호 교수

한국은 위암 고위험 국가다. 세계 암 연구 기금이 2022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위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7명으로 세계 평균인 9.2명의 세 배에 달한다. 이 같은 수치는 생활습관 관리와 정기 검진의 필요성을 분명히 보여준다.

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장재영 교수는 “위암의 주요 원인은 짜고 자극적인 음식, 발암물질이 포함된 음식 섭취, 그리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이라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WHO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로, 감염 시 위암 발생 위험을 일반인보다 3배 이상 높인다”고 설명했다. 감염 경로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사람 간 전파가 추정되며, 음식을 함께 덜어먹거나 술잔을 돌리는 식문화가 원인일 수 있다.

경희대병원 위장관외과 김용호 교수는 “김치·젓갈 같은 염장 음식이 많아 한국은 서구보다 위암 발생률이 높은 편”이라며 “햄, 베이컨, 소시지 등 가공육의 보존제 속 아질산염은 소화 과정에서 발암물질을 만들 수 있어 섭취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위암은 조기 진단 시 완치율이 95% 이상이다. 하지만 초기에는 소화불량, 속쓰림 등 일반적인 증상 외에는 특별한 이상이 없어 발견이 어렵다. 체중 감소, 빈혈, 출혈 같은 증상은 병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나타난다. 장 교수는 “다행히 건강검진 확산과 내시경 기술 발전으로 조기 진단율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며 “영상강화내시경과 최대 1,000배 확대가 가능한 확대내시경으로 미세 암 조직 진단이 가능해졌고, 림프절 전이가 없는 조기 위암은 내시경 절제술이 표준 치료법으로 시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내시경 절제술은 위를 보존할 수 있어 삶의 질 유지에 유리하고 회복 속도도 빨라 입원 기간이 짧다. 다만 낮은 확률로 다른 부위 재발 가능성이 있어 치료 이후에도 정기 검진이 필요하다. 김 교수는 “조기 위암이라도 내시경 절제술 범위를 벗어나거나 진행된 경우에는 위절제술이 필요하다”며 “암 발생 부위에 따라 절제 범위가 달라지지만, 전이 가능성이 있는 주변 림프절까지 함께 절제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설명했다.

과거에는 개복 수술이 표준이었으나 최근에는 절개 범위가 작고 회복이 빠른 복강경 수술과 정밀한 로봇 수술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환자와 보호자의 만족도가 높은 만큼, 병기와 환자 상태에 따라 최적의 수술법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저작권자 © 힐링앤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