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an Animal Bond] 4. 반려동물과 사람의 건강한 노화

- 노인의 삶의질 향상 측면

2021-11-09     유병창 에디터
@ waltham Petcare Institute

선진국에서는 노년층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영양과 건강한 생활방식에 대한 지식과 교육은 물론 질병치료와 의료수준의 발전은 이같은 수명 증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건강한 노화’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웰빙을 잘 관리함으로써 독립성과 삶의 질을 유지하는 것이다.

선진국 국민들은 이제 큰 장애 없이 거의 80년 이상을 살 수 있고, 특히 여성은 자신 스스로를 돌보는 능력의 제약 없이도 대부분 그때 까지 살 수 있다.
특히 미국에서 65세 이상의 대다수 국민들은 독립적으로 살고 있고, 이 중 약 14%가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으로 추정된다.27
반려동물은 노인이 활동적이고 외출을 하며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강한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반려동물을 돌봄으로 해서 강한 목적의식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당연히 아동과 성인에서 보고되었던 동물과의 상호작용이 주는 많은 혜택은 노인과도 관련이 있다. 물론 심장마비 후 1년 생존율과 반려동물 소유의 관련성을 연구한 결과는 나이가 들수록 더 중요해진다.17

반려동물이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의 가치는 노인에게 더 큰의미가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나이가 들수록 사회활동이 줄어들게 되고 자연스럽게 사회 관계망과 사회적 지지가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접촉이 적은 노인들에게 있어 반려동물에 강한 애착을 가진 노인들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최근 질병 발병률이 더 낮다고 보고했다.28
반려견을 키우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더 많은 신체활동을 하고 더 오래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29
반려견을 키우지 않는 사람들은 보호소 개, 또는 자원봉사 조련사, 치료견팀과 함께 산책함으로써 더욱 활발히 움직일 수 있다. 그러한 프로그램의 결과는 노인의 보행 속도와 거리가 개선되었음을 입증했고,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을 지속하는 데 사람보다 개와 동행하는 것이 더 큰 동기부여가 된다고 답변했다.30

다음 시리즈에서는 ‘동물매개활동 중 하나인, 치료환경에서의 반려동물’ 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Ref.)

27. APPA. (2009). 2009-2010 National Pet Owners Survey. Greenwich, CT: American Pet Products Association.

17. Friedmann, E., & Thomas, S.A. (1995) Pet ownership, social support, and one-year survival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the Cardiac Arrhythmia Suppression Trial (CAST).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76(17), 1213-1217. 

28. Garrity, T. F. et al (1989). Pet ownership and attachment as supportive factors in the health of the elderly. Anthrozoos, 3(1), 35-44.

29. Thorpe R.J. et al (2011). Dog walking as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In R. A. Johnson, A. M. Beck & S. McCune (Eds.), The Health Benefits of Dog Walking for Pets People (pp. 75-88). West Lafayette, Indiana: Purdue University Press.

30. Johnson, R. A. (2011).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in health care contexts. In P. McCardle, S. McCune, J. A. Griffin & V. Maholmes (Eds.), How Animals Affect Us: 
Examing the Influence of Human-Animal Interaction on Child Development and 
Human Health (pp. 183-19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자료 출처] 본 컨텐츠는 미국 월썸 펫케어 연구소 자료로 사전 허락 하에 작성되었으며, 무단 전제 복사를 금하며, 힐링앤라이프 출처를 명확히 밝히시기 바랍니다.